채팅목록 상단 2줄 크기 동영상 광고 시범 서비스 개시
"소비자 반응 살펴 전면확대 여부 결정"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본격적인 수익화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국내에서만 4,600만 명이 사용 중인
카카오톡 채팅목록에 동영상 광고를 게재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광고주들에게 '익스팬더블 동영상 광고'의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안내했다.
이미 카카오는 2019년부터 '비즈보드'라는 이름으로
카카오톡 채팅목록 최상단에 채팅방 목록 1개 크기의 배너광고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움직임은 기존 이미지 형태의 배너광고를 동영상으로 한 차원 진화시키는 것이다.
배너광고 내 동영상 재생 버튼을 클릭하면 채팅방 목록 2개 크기의 동영상이 재생된다.
현재는 카카오골프 등 일부 광고주만 대상으로 동영상 광고를 테스트하고 있는데,
카카오는 이를 향후 전면 확대할지도 검토하고 있다.
카카오의 이런 행보 이면에는 역시 광고 수익 극대화 목적이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카카오의 고성장에는 비즈보드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올 2분기 카카오톡 광고와 전자상거래 등을 포함한 톡비즈 매출(3,905억 원)은 1년 전보다 52% 급증했다.
이 중 비즈보드를 포함한 광고 분야의 매출 비중이 54.2%(2,100억 원)에 이른다.
지난해 말 기준, 일평균 매출 10억 원을 넘어선 비즈보드는 분기마다 최고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다.
업계에선 막강한 카카오의 마케팅 영향력에 동영상 광고 효과까지 더해질 경우,
익스팬더블 동영상 광고 수요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소비자 반발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카오톡이 국민 메신저가 된 배경에는 무료이면서도 광고 등을 뺀 깔끔하고 단순한 이용자 환경이 있었다.
하지만 수익화를 위해 광고를 확대할 경우, 사용성 저하와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럼에도 당장은 카카오톡을 대체할 수단이 없는 만큼
즉각적인 이용자 이탈 등 반작용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마이라이프 > 마케팅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북을 열며] 좋아요 말고, 구독료 (0) | 2021.09.09 |
---|---|
애플 테슬라 아마존 구글 반도체 독자 개발 나서는 이유 (1) | 2021.09.08 |
아마존이 백화점을 만드는 이유 (0) | 2021.08.31 |
구찌 티파니도 판다…한해 카톡으로 선물 3조 넘었다 (0) | 2021.08.24 |
“디즈니플러스, 11월 한국 상륙” 공식화…LGU+ 제휴 유력 (0) | 2021.08.13 |